약사님의 일반약 상담 비서
지금 약국의 현실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일반약은 점점 없어지고 제약회사는 영업이익을 위하여 영업사원을 줄이고 온라인 선결제를 유도하고, 제약사 입장에서 팔기 쉽고 재고소진이 용이한 건기식을 중심으로 시장전환을 꾀하고 있는 지 오래되었습니다. 반대급부로 약국의 입지는 점점 좁아진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대한약사회는 약사위상 정립과 약업계의 발전을 위하여 일반의약품 활성화를 목적으로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약사님들의 동참을 촉구하고 나름대로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아직 성과는 미미합니다. 아울러 의정갈...
글루타치온(Glutathione)글루타치온 또는 글루타티온은 아미노산중합체의일종으로대표적인항산화제중하나 입니다.글루타치온은 여러 매체를 통해 피부 미백기능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러한 영향으로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고 약국으로도 관련 문의가 많습니다.C제약사와 D제약사에서 글루타치온이 일반의약품으로 나온 제품이 있지만 가격이 비교적 높게 책정되어 있기도 해서 실제 판매로 이어지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처럼 가격의 문제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약국의 일반의약품은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부 약사님들께서는 의약품이 아닌 글루타치온 제품...
반갑습니다. 약국을 운영하시거나 근무하시다 보면 많은 손님들이 머리가 아프다고 두통약이나 편두통 약을 달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대학병원에서 근무하시는 약사님께서 두통에 대해 정리하신 내용을 가져왔습니다.다들 잘 아시는 내용이지만 아는 약, 모르는 약, 헷갈리는 약을 두통 증상에 맞게 고객에게 선별해 주는 시간으로 두통약에 대해서알아보는 약 약 약 시간입니다.고려대학교안산병원 약제팀 : 김명신 전문 약사가 두통약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https://youtu.be/P3NL3S_JApEhttps://youtu.be/25p...
턱은음식을 깨물고 으깨는 이가 나 있다.턱관절 관련 참고영상 ==>CLICK[ 본사의 영상이 아닙니다. ]우리의 얼굴 중 코와 입을 포함하는얼굴의 중앙에서부터 아래쪽 부분을 턱이라 한다.턱은 머리뼈에 고정된 위턱뼈(상악골, maxilla)가 중심이 되는 위턱과아래 턱뼈(하악골, mandible)를 중심으로 머리 뼈와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움직이는 아래턱으로 나눌 수 있다.위아래 턱뼈의 앞 쪽에는 치아가 배열되어 있고 턱뼈의 좌우에서 아래위턱을 연결하는 관절과 근육들의 도움으로 아래 턱을 움직여서 치아가 맞물려음식을 씹을 수 있...
흉식과 복식호흡은호흡할 때 움직이는 부위가 다르다.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늑골을 만지며 심호흡을 해보시면 느낌이 다르다.숨을 들이 쉬면 늑골이 올라가고 숨을 내쉬면 늑골이 내려간다.숨을 들이 쉬어 늑골이 올라가면 흉판이 두꺼워진다.폐를 담는 용기인 흉곽 모양이 변해서 커졌기 때문일 것이다.늑골은 숨을 토해냈을 때 뒤에서 앞으로 즉 대각선 아래쪽으로 내려간다.늑골을 들어 올리면 앞쪽의 흉판이 두꺼워진다.이때 폐와 심장이 들어 있는 공간인 흉강이 확장되고 안에 음압이 형성되어 공기를 폐 속으로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반대로 늑골을 내리면...
생식기계는정자와 난자의 형성과 수정, 발육을 담당한다.생식기계 관련 참고 영상 ==>CLICK 1 [ 본사의 영상이 아닙니다. ]남성에서는 정소, 수정관, 음경, 여성에서는 난소, 수란관, 자궁, 질 등의 생식을 담당하는 기관의 총칭이다.정소는 태생시에 신장 근처에 생기는데 태생 중에 강하하여 서경관(鼠徑管)을 지나 음경에 들어간다.때로는 강하하지 못하여 복강내에 멈추어 정소 정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복강에서는 체온이 음낭보다 높아 정자 형성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생식기계는 생물의 유성생식을 하는 기관으로서 생식선과 부...
신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을 걸러내어 혈액 속의 불필요한 물질이나 과잉 물질을 소변 형태로 내보내는 것이다.비뇨기계 관련 참고 영상 ==>CLICK 1신장, 방광 관련 참고영상 ==> CLICK 2[본사의 영상이 아닙니다]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다.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이 요관을 따라 방광에 저장되고 일정한 양의 소변이방광에 모이면 요도를 통하여 배설된다.-신장: 필요한 물질은 재 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걸러내어 소변을 만드는 강낭콩 모양의 기관이다.-요관: 신장과 방광을 이어주는 관, 신장에서...